본문 바로가기
전기기사/전력공학

CH1. 가공 전선로(1)

by 전기공학도 2022. 1. 26.

1. 송전용 전선

  전선의 구비 조건

    (1) 전선은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는 도체로, 인장력에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.

    (2) 구비 조건 (경기도비가)

      제적일 것

      계적 강도가 충분할 것

      전율이 커서 고유 저항이 작을 것(전류를 잘 흐르게 하기 위해)

      중이 가벼워 설치가 쉬울 것

      요성이 풍부하여 접속이 용이할 것 

 

  전선의 굵기 선정

    (1) 경제적인 전성의 굵기 선정 : 켈빈의 법칙

    (2) 전선의 굵기 선정 시 고려 사항 (허전기)

      용 전류가 클 것

      압 강하가 작을 것

      계적 강도가 우수할 것

 

  전선의 구조에 따른 종류

    (1) 단선 : 전선의 구성이 1개의 도체만으로 이루어진 전선

    (2) 연선 : 전선의 구성이 여러 개의 단선을 꼬아 만든 전선

        ※ 연선의 총 소선수(N) : N = 3n(n+1)+1 

 

  전선의 재료에 따른 종류

    (1) 연동선 : 도전율 - 100%, 인장강도 - 약 20㎏/㎟

 

    (2) 경동선 : 도전율 - 97%, 인장강도 - 약 45㎏/㎟

 

    (2) 강심 알루미늄 연선(ACSR : Alumininm Conductor Steel Reinforced)

      ① 전선의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전선

      ② 전선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중심선에 강선을 보강

      ③ 전선의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전선의 굴기를 크게 늘릴 수 있다.

 

2. 송전용 지지물(철탑)

  전선 지지물(철탑)

    철탑의 형태에 따른 종류

      ① 사각 철탑 : 철탑의 기초면의 모양이 사각 형태인 철탑

      ② 방형 철탑 : 서로 마주 보는 2면이 동일한 형태의 철탑

      ③ 문형 철탑

          - 철탑의 모양이 문 형태를 이루는 철탑

          - 전차 선로나 도로, 하천 횡단 시 주로 적용

      ④ 우두형 철탑

          - 철탑의 모양이 마치 소의 머리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철탑

          - 초고압 송전 선로나 산악 지대에서 1회선용으로 주로 적용

      ⑤ 회전형 철탑 : 철탑의 중간부 이상과 이하를 45˚ 회전시켜 강도를 높인 철탑

 

  철탑의 용도에 따른 종류

    (1) 직선 철탑(A형) : 수평 각도 3˚ 이하인 직선 선로에 채용되는 철탑

 

    (2) 각도 철탑(B형, C형)

      ① 수평 각도 3˚를 초과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철탑

      ② 수평 각도에 따라 B형(3˚~20˚ ), C형(20˚ 초과)으로 구분

 

    (3) 인류 철탑(D형) : 전선로가 끝나는 지점에 사용(억류지지 철탑)

 

    (4) 내장 철탑(E형)

      ① 장경간이나 A형 철탑 10기마다 1기씩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

      ② 장경간 : 표준 경간보다 긴 경간

 

'전기기사 > 전력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H1. 가공 전선로(2)  (1) 2022.01.26